지난 한 해 동안에만 우리나라에서 모두 12,90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하루에 35명꼴이다. 우리나라는 OECD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다.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정신적 문제'다. 경제적 어려움, 가정불화, 외로움, 질환 등을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우울증 환자는 처음으로 백만 명을 넘었고, 우울증 위험군 비율도 코로나19 전후로 5배 넘게 증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자살률,OECD 표준인구 보정)는 23.6명이다. 이는 OECD평균인 11.1명보다 2배 이상 높다. 20명 이상인 국가는 한구 외에는 리투아니아(20.3명)가 유일하다. 한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결과(2022년)에 따르면, 자살은 1인당 4억900만원(전체 약 5조4천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한다.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이 전년대비 30.5%가 감소해, 25개 자치구 중 자살률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용산구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18.5명으로 2021년 26.6명보다 30.5%가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는 구는 생명존중 인식 확산과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형화된 사업보다는 자살 예방 지킴이를 양성하고 집중관리 대상과 지역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자살 예방사업을 추진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이다. 용산구에서는 '자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용산구'를 목표로 설정하고 ▲범사회적 자살예방환경 조성 ▲맞춤형 자살예방서비스 제공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를 위한 세부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매년 '자살예방의 날(9월10일)'에는 구민과 함께하는 '생명존중·생명사랑 공모전' 당선작으로 현수막과 홍보물품을 제작해 생명존중 인식 확산에 활용하고 있다. 기존 지역 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식으로 진행하던 자살 예방 교육도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문화공연과 접목해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 나비'를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